NEVUS REMOVAL
점제거
WHAT IS IT?
점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점은 멜라닌 세포가 모반 세포로 바뀌어 생기는 작고 검은 무늬입니다. 의학 용어로 ‘모반(nevus)’이라고 하며 사람마다 각기 다른 모양과 색을 갖는데, 멜라닌세포 모반, 청색 모반, 혈관종 등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합니다. 그 중 우리가 흔히 말하는 점은 검은색을 띠는 ‘멜라닌세포 모반’인데, 생기는 시기에 따라 선천성 모반과 후천성 모반으로 나눠지며 보통 30대 정도에는 누구나 10~20개의 점을 갖게 됩니다. 점은 편평하거나 약간 볼록하고, 옅은 갈색에서 짙은 갈색까지 다양하며 크기는 대개 1cm미만으로 털이 나 있을 수 있습니다. 점은 멜라닌 세포가 모여서 덩어리를 이룰 때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선천성 모반은 멜라닌세포 내 단백질 발생 과정에서 돌연변이가 나타날 때 생길 수 있으며, 후천성모반은 자외선, 나이, 호르몬, 유전적 요인 등을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호르몬 변화가 큰 사춘기나 임신 중에는 자연스럽게 점의 변화가 생길 수 있지만 드물게 피부암과 관련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점의 크기가 갑자기 커지거나 표면이 허물어져서 출혈이 있는 경우, 발바닥과 같이 늘 자극을 받는 부위에 생기는 등의 큰 변화가 있을 때는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멜라닌세포모반은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나뉘는데 선천성 멜라닌세포모반은 소형, 중형, 대형으로 나누며 후천성 멜라닌세포모반은 경계모반, 복합모반, 진피모반으로 나뉩니다
KIND OF NEVUS
경계성모반
피부의 가장 바깥쪽인 표피와 진피 사이의 경계부에 모반 세포가 모여 자라는 피부에 있는 점으로 가장 흔한 종류이며, 대부분 소아, 청소년기에 발생하여 이후 복합모반을 거쳐 진피 모반으로 이행하는 경이가 있습니다. 대개 1~5mm정도 사이즈의 갈색 또는 흑색의 편평한 모양을 가지며 보통 표면은 매끈하고 털이 없습니다. 대부분 2~18세에 생긴 후 점차 깊숙이 이동할 수 있으며 복합모반이나 진피내 모반으로 변하기도 하고 악성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복합성모반
경계모반과 진피내 모반의 중간 형태를 복합모반이라고 하며 세포가 표피와 진피의 경계 부위에 집단을 형성해 일부는 진피내로 들어가 있는 점으로 표면이 매끈하거나 사마귀 모양으로 약간 융기한 형태이고 옅은 갈색으로 간혹 거친 털을 가진 경우도 있습니다. 진피의 모반 세포는 아래로 갈수록 세포 크기가 작아지고 멜라닌의 양이 감소하는 성숙현상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며, 일부가 진피 내로 하향 이동하여 뚜렷한 병소를 이루고 있으므로 경계모반과는 달리 한번의 co2레이저 시술로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은 흉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흉터를 발생시키지 않고 병변의 완전 소실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수차례 반복하여 시술이 이루어 질 수도 있습니다.
진피내 모반
주로 20대 이상의 성인에게 많이 보여지며 표면은 완전히 솟아올라와 있는 모습으로 모든 모반 세포가 진피 내에만 존재하고 크기는 수 mm에서 1cm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대개 융기된 반구형이지만 사마귀 형태, 폴립 형태, 유경성의 결절 형태를 보이기도